유연근무제에 대해 직장인 대부분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출퇴근과 근무일을 자율조정하는 탄력근무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디지털대학교는 18일 20~50대 재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6.7%가 유연근무제가 필요하다고 대답했다고 밝혔다.
일본의 토요타가 일주일에 2시간만 출근하고 나머지는 집에서 근무하는 파격적인 재택근무를 도입해 이슈가 된 바 있다. 또 국내에서도 네이버, 삼성전자, 유한킴벌리 등이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지난 7월에는 은행권 최초로 신한은행이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의 유연근무 도입은 형태에 따라 재택근무 3%, 시차 출퇴근제 12.7% 등이다. 이는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 낮은 편이다. 하지만 신한은행과 하나투어 같은 유연근무 선도 기업은 생산성 향상, 이직률 감소 등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와 관련 서울디지털대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연근무제의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들의 70% 이상이 직장인이고 소규모 기업의 CEO 등을 포함하면 80% 이상이 유연근무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됐다는 것이 서울디지털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번 설문결과 전체 응답자의 대부분인 86.7%가 ‘유연근무제가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모르겠다’는 응답이 9.4%로 뒤를 이었고, ‘아니다’라는 응답은 3.9%에 그쳤다.
원하는 유연근무제 형태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를 넘는 57.9%가 탄력근무제(주 40시간 근무하되 출퇴근시각, 근무일 자율 조정)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 시간제 근무(주 40시간보다 짧은 시간 근무)가 19.3%, 재택근무제 13.3%, 원격근무제(자택 인근 별도 사무실에서 근무) 5.3%순이었다.
원하는 출퇴근 시간에 대한 질문에 ‘오전 8시~오후 5시’라는 응답이 25.1%로 가장 많았다. ‘오전 7시~오후 4시’, ‘오전 10시~오후 7시’가 각각 20.9%, 18.3%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