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뉴스레터

중소기업 평균 퇴사율 30.7%

BY일생활균형재단

올해 국내 중소기업 평균 직원 10명 중 3명(30.7%)이 퇴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국내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811명에게 올해 평균 직원 퇴사율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들의 올 평균 퇴사율은 30.7%로 집계됐다.

퇴사가 가장 많았던 직무는(*복수응답) ‘영업직’으로 응답률 37.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생산/현장직(34.8%) △고객상담/TM(15.7%) △디자인직(13.1%) △영업관리(11.3%) △마케팅(10.0%) △기획(9.7%) △판매서비스(9.6%) 순으로 회사를 떠난 직원이 많았다.

직원들이 퇴사하는 이유 중에는(*복수응답) ‘업무에 대한 불만’(47.2%)으로 퇴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연봉에 대한 불만(40.0%)으로 퇴사한 비율도 높았다.

이 외에 △높은 업무 스트레스(26.9%) △동료 및 상사와의 불화(19.4%) △복리후생에 대한 불만(17.3%) △기업의 비전 및 사업방향에 대한 불신(16.5%) △잦은 야근(15.2%) △경력관리를 위해(14.5%) 등의 경우가 많았다.

특히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거나 커리어를 강화하는 직장인들이 늘면서 기업에서는 보내고 싶지 않은 핵심인재의 이탈 방지에 기업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실제, 기업인사담당자 76.7%는 ‘내보내고 싶지 않은 직원이 퇴사한 경우가 있다’고 답했다.

보내고 싶지 않은 직원이 퇴사의사를 밝혔을 때 이를 막기 위한 노력으로 △회사의 비전과 개인의 성장가능성 등 미래상을 제시(55.9%)하거나 △연봉인상 및 인센티브 등 금전적 보상 강화(42.1%)를 제시해 회유를 했었다고 답했다. 이 외에도 △직급 승진 약속(19.6%) △장기휴가 및 휴직 대안 제시(19.5%) △개인의 역량 강화 기회 제공(4.3%) 등의 대안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회유책으로 핵심인재의 이탈을 방지했던 경험이 있다는 답변은 54.5%로 절반 정도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