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뉴스레터

[국민일보 세태기획] 새내기 직장인 ‘거짓말’로 산다… 사실대로 얘기하면 귀찮게 할까봐

BY일생활균형재단

“이거 비밀인데, 회사 근처에서 몰래 자취하고 있어요.” 지난해 입사한 직장인 이모(26·여)씨는 최근 ‘비밀 자취’를 시작했다. 경기도 일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출퇴근하는 게 번거로워 회사 부근에 방을 하나 얻었다. 회사 동료들에겐 이 사실을 따로 알리지 않았다.

생각보다 장점이 많다고 한다. 회식 자리가 길어지면 서둘러 막차를 타고 일산까지 가야 한다며 먼저 일어날 수 있다. 불필요한 야근에서도 어느 정도 자유롭다. 저녁에 상사 눈치 보며 그냥 앉아 있을 때 ‘긴 통근시간’을 핑계로 조금이라도 빨리 퇴근할 수 있다.

비밀을 유지하려다 보니 가끔 ‘뻥 택시’ 작전을 쓰기도 한다. 퇴근길에 동료들이 볼 때는 일산에 가는 척 택시를 탄다. 그러곤 여의도를 한 바퀴를 돌아 회사 앞 자취방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이씨는 ‘비밀 자취’로 얻는 저녁시간을 집에서 편히 쉬거나 친구를 만나는 데 쓴다. 이런 개인시간 덕에 업무 집중도가 높아졌다고 했다. 일종의 ‘거짓말’을 하는 건데 죄책감은 없느냐고 묻자 이씨는 “속인다기보다 그냥 말을 안 했을 뿐이다. 굳이 어디 사는지 말할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직장인은 하루 24시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회사에서 동료와 보낸다. 잦은 야근과 회식은 그 시간을 더 늘린다.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 등은 개인시간의 경계를 자꾸 침범한다. 이런 현실에서 휴식과 재충전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사회 초년생의 ‘웃픈(웃기면서 슬픈) 거짓말’이 등장하고 있다.

대전에서 근무하는 최모(27)씨는 상사의 주말 호출을 원천봉쇄하기 위해 목요일쯤 되면 ‘연막’을 치기 시작한다. 주말에 부모님이 계시는 서울에 간다는 말을 동료와 상사에게 미리 던져둔다. 물론 실제로는 대전에서 조용히 보낸다. 주말 등산이나 식사자리를 피하려는 것이다. 그러다 상사와 마주친다면? 최씨는 “당황하지 않고 ‘마침 기차표가 매진돼서 다음 주에 가기로 했다’고 하면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인정’에 호소하는 고전적 수법도 여전하다. 함모(29·여)씨는 “며칠 전부터 아픈 척하다가 회식날 일부러 화장을 안 하고 간다. 그러면 얼굴 도장만 찍고 바로 나올 수 있다”고 했다. 박모(31)씨는 “친구가 부친상을 당해 조문하러 가야 한다고 거짓말을 한 적이 있는데, 죄책감이 들어 친구 이름을 하나 새로 지어냈다”며 씁쓸한 웃음을 지었다.

아예 사생활에 대해 입을 다물기도 한다. 김모(26·여)씨는 “입사 이래 2년째 ‘회사 솔로’”라고 했다. 남자친구가 있다고 하면 과도한 관심과 질문이 쏟아지는 데다 자신의 연애 얘기가 회식자리에서 안줏거리가 되는 것도 불쾌해 ‘회사에서만 솔로’ 행세를 고집한다.

이런 ‘웃픈 거짓말’이 잘못된 것일까. 서울대 사회학과 김석호 교수는 “일과 생활의 분리가 중요한데 한국사회는 ‘직장 중심 사고’가 너무 크다”며 “개인과 조직을 분리하는 사고에 아직도 익숙하지 않다. 회식을 통해 소통하려는 것 자체가 문제”라고 꼬집었다.

일·생활균형재단의 김영주 연구원은 “2030세대인 사회초년생과 4050세대인 의사결정그룹 사이의 인식 차이가 곳곳에서 발견된다”며 “일과 생활의 균형을 저출산 대책 중 하나로 볼 게 아니라 근로자 모두에게 해당하는 보편적 개념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